Notice
														
												
											
												
												
													Recent Posts
													
											
												
												
													Recent Comments
													
											
												
												
													Link
													
											반응형
    
    
    
  | 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 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1 | ||||||
| 2 | 3 | 4 | 5 | 6 | 7 | 8 | 
| 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
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
| 23 | 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
| 30 | 
													Tags
													
											
												
												- 정렬
- 마이라이트
- 카카오
- 일본어공부
- 코테
- 스텍
- 코딩
- SWEA
- 가벼운학습지
- 코딩테스트
- 자료구조
- array
- 삼성소프트웨어아카데미
- 삼성
- stack
- 인프런
- mybatis
- 프로그래머스
- java
- 알고리즘
- 일본어학습지
- 일본어독학
- 성인학습지
- 코테준비
- js
- javascript
- 자바
- 가벼운학습지후기
- 백준
- 자바스크립트
													Archives
													
											
												
												- Today
- Total
개발에 AtoZ까지
[JAVA][D2] 1959. 두 개의 숫자열 본문
반응형
    
    
    
  문제
N 개의 숫자로 구성된 숫자열 Ai (i=1~N) 와 M 개의 숫자로 구성된 숫자열 Bj (j=1~M) 가 있다.
아래는 N =3 인 Ai 와 M = 5 인 Bj 의 예이다.
Ai 나 Bj 를 자유롭게 움직여서 숫자들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.
단, 더 긴 쪽의 양끝을 벗어나서는 안 된다.
 
서로 마주보는 숫자들을 곱한 뒤 모두 더할 때 최댓값을 구하라.
위 예제의 정답은 아래와 같이 30 이 된다.
 
[제약 사항]
N 과 M은 3 이상 20 이하이다.
[입력]
가장 첫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지고, 그 아래로 각 테스트 케이스가 주어진다.
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 번째 줄에 N 과 M 이 주어지고,
두 번째 줄에는 Ai,
세 번째 줄에는 Bj 가 주어진다.
[출력]
출력의 각 줄은 '#t'로 시작하고, 공백을 한 칸 둔 다음 정답을 출력한다.
(t는 테스트 케이스의 번호를 의미하며 1부터 시작한다.)예시
풀이
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
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
import java.util.ArrayList;
public class Solution {
	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		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		try {
			int T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			// 테스트케이스 반복
			for (int i = 1; i <= T; i++) {
				String[] str = br.readLine().split(" ");
				ArrayList<Integer> aList = new ArrayList<Integer>();
				ArrayList<Integer> bList = new ArrayList<Integer>();
				ArrayList<Integer> maxList = new ArrayList<Integer>();
				ArrayList<Integer> minList = new ArrayList<Integer>();
				str = br.readLine().split(" ");
				for (int a = 0; a < str.length; a++) {
					aList.add(Integer.parseInt(str[a]));
				}
				str = br.readLine().split(" ");
				for (int a = 0; a < str.length; a++) {
					bList.add(Integer.parseInt(str[a]));
				}
				//인덱스가 큰 리스트 찾기
				maxList = aList.size() > bList.size() ? aList : bList;
				minList = aList.size() < bList.size() ? aList : bList;
				int max = 0;
				for (int a = 0; a <= maxList.size() - minList.size(); a++) {
					int sum = 0;
					for (int b = 0; b < minList.size(); b++) {
						//인덱스가 큰 리스트에서 한칸씩 미루면서 최대값찾기
						sum += minList.get(b) * maxList.get(b + a);
					}
					max = Math.max(max, sum);
				}
				System.out.println("#" + i + " " + max);
			}
		} catch (Exception e) {
			e.printStackTrace();
		}
	}
}
반응형
    
    
    
  '코딩테스트 준비 > SWE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JAVA][D2] 1946. 간단한 압축 풀기 (0) | 2021.01.10 | 
|---|---|
| [JAVA][D2] 1976. 시각 덧셈 (0) | 2021.01.10 | 
| [JAVA][D2] 1954. 달팽이 숫자 (0) | 2021.01.10 | 
| [JAVA][D2] 1961. 숫자 배열 회전 (0) | 2021.01.10 | 
| [JAVA][D2] 1966. 숫자를 정렬하자 (0) | 2021.01.10 | 
| [JAVA][D2] 1970. 쉬운 거스름돈 (0) | 2021.01.10 | 
| [JAVA][D2] 1976. 시각 덧셈 (0) | 2021.01.10 | 
			  Comments
			
		
	
               
           
					
					
					
					
					
					
				
 
								 
								 
								