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반응형
| 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1 | ||||||
| 2 | 3 | 4 | 5 | 6 | 7 | 8 |
| 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| 23 | 24 | 25 | 26 | 27 | 28 | 29 |
| 30 |
Tags
- 코테준비
- java
- 코테
- 코딩테스트
- stack
- 자바스크립트
- 스텍
- 마이라이트
- array
- 자료구조
- js
- 가벼운학습지
- 가벼운학습지후기
- javascript
- 알고리즘
- 삼성소프트웨어아카데미
- mybatis
- 일본어학습지
- 프로그래머스
- 정렬
- 코딩
- 백준
- 인프런
- SWEA
- 카카오
- 자바
- 삼성
- 일본어독학
- 성인학습지
- 일본어공부
Archives
- Today
- Total
개발에 AtoZ까지
[Spring Boot] Gradle로 Build하는 방법 본문
반응형
◆목표
jar 과 war의 차이점
Gradle Build하는 방법
1. jar과 war의 차이점
1) jar : 내장 서버를 포함하여 Build 하는 방법
2) war : 외장 서버에 배포할 목적이기 때문에 내장 서버를 포함하지 않고 Build 하는 방법
❗springboot 프로젝트를 jar로 배포 했을시 webapp 디렉토리를 무시하는 특성때문에 jsp 사용은 불가하다는 특이사항이 있다.
(참고: docs.spring.io/spring-boot/docs/2.1.5.RELEASE/reference/htmlsingle/#boot-features-jsp-limitations)
2. Gradle Build하는 방법
1) 빌드하기 전에 Gradle Project를 생성한다.
2) 생성했다는 가정하에 Gradle Tasks 탭을 활성화시켜 Build할 준비를 한다.

3) Gradle Tasks > build 패키징으로 이동하면 여러 형태의 Gradle 명령어를 볼수있다.
-> 명령어를 통해서 빌드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렇게 IDE를 통해서 Build하면 손쉽게 Build 할수있다.

4) Build 하게 되면 해당 프로젝트 build 폴더에 아래와 같은 Jar 파일이 생긴다.

5) 해당 프로그램은 java -jar \[jar파일명\] 명령어를 통해 실행가능하다.

반응형
'백엔드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에러]Database "mem:testdb" not found, either pre-create it or allow remote database creation (0) | 2021.07.19 |
|---|---|
| [에러] Cause: org.xml.sax.SAXParseException; lineNumber: 1; columnNumber: 39; 예기치 않은 파일의 끝입니다. (0) | 2021.05.26 |
| [Spring Boot] 전송방식에 따른 Parameter 받는 방법 (1) | 2021.04.30 |
| [Spring] 파일 단일/다중 업로드(Multipart) (0) | 2021.01.23 |
| H2, JPA, MyBatis 특징 및 차이 (0) | 2021.01.17 |
| [Spring] Mybatis 와 JPA 환경설정 차이 (0) | 2021.01.17 |
Comments